서울 초등학교보안관 고령화…성범죄 등 대처 능력 '우려'

  • 등록 2016.11.28 22:06:52
  • 조회수 977
크게보기

(한국안전방송)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배치된 학교보안관이 고령화로 인해 현장대처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김용석 의원(도봉1)은 28일 열린 제271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학교보안관 제도에 대한 문제를 짚었다. 

서울시 학교보안관 제도는 2010년 오세훈 전 시장의 핵심 교육공약으로 폭력없는 학교를 만들고자 1094명을 선발해 2011년부터 서울시내 국·공립 초등학교에 배치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현재 서울시 226억원의 예산으로 총 1179명이 560개 학교에 2~3명씩 배치돼 초등학생들의 학교폭력 예방과 외부인 출입 관리·통제를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외부인 침입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해야하는 중요 임무가 있는 학교보안관의 고령화가 우려되는 수준이라고 김 의원은 주장했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외부인 침입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해야하는 중요 임무가 있는 학교보안관의 평균 연령은 64세이고 최고령이 82세로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제도시행 후 5년동안 학교보안관이 있었음에도 외부인 침입해 성추행, 폭행 사건이 발생하여 현장대처 능력이 부족해 학생안전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2016년 서울시 학교보안관 제도 운영실태 및 만족도 조사에 의하면 학부모가 평가하는 학교보안관의 적정 상한 나이로 만65세 이하를 76.3%가 응답했고, 학교보안관 선발시 중요 조건도 나이→과거 경력→학교인근 거주자로 평가한 결과를 반영해 연령제한과 선발과정에서 종합적인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제도시행 후 5년동안 학교보안관이 있었음에도 외부인 침입해 성추행, 폭행 사건이 발생해 현장대처 능력이 부족해 학생안전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교보안관 제도 운영에 대한 중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학교보안관에 대한 제도적 근거가 미약하기 때문에 조례 제정으로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홍예경 기자 rosehongyg@naver.com

PC버전으로 보기

본 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광덕3로 135-6 신명타운 2층 201호 전화번호:031-486-7771| 031-411-8123| FAX:031-410-2395 발행인겸대표이사 : 이병걸 .주주섭| 편집인 : 이병걸 등록번호 : 경기 ,아51039 등록일 :2014년 8월12일 발행일 : 2014년 8월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