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포항지진 국제포럼'이 15일 경북 포항의 포스텍국제관에서 '위기를 기회로, 포항의 새로운 도약'이란 주제로 열렸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함께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는 유발지진과 관련한 최신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임호빈 서울대 박사는 포항지열발전에서 마지막으로 물을 주입한 뒤 약 2개월 후에 포항지진이 발생한 메커니즘을 증명했다.
김광희 부산대 교수와 김병민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포항지진 사례를 통해 지진피해 및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밖에 가스전 개발로 지진 피해를 본 네덜란드 흐로닝언 피해 사례 발표, 지열발전부지 안전관리 사업 추진 계획 등이 발표됐다.
김혜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관은 국내외 지진방재 기반 현황조사를 통해 포항의 지진방재 기반 발전방향을 제안했고 신병흔 토지주택연구원 박사는 포항 흥해지역 도시재생사업과 관련해 시민과 소통했다.
이강덕 시장은 지진극복 토크콘서트를 통해 지진 극복과 포항 발전에 대한 시민 의견을 듣고 이야기를 나눴다.
이 시장은 "지진을 극복하고 재난대응 안전도시로 거듭나 새롭게 도약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