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8 (월)

  • 맑음동두천 3.8℃
  • 맑음강릉 6.2℃
  • 맑음서울 5.1℃
  • 맑음대전 4.9℃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8.4℃
  • 맑음광주 5.9℃
  • 맑음부산 10.4℃
  • 맑음고창 4.8℃
  • 맑음제주 9.8℃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3.2℃
  • 맑음강진군 7.1℃
  • 맑음경주시 6.8℃
  • 맑음거제 9.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어머니가 계셨기에 오늘 날 "인간 김인강"이 존재했다

■ 검사와  기쁨 공식

 

가난과 장애, 차별과 절망, 도저히 평안할 수 없는 상황과 

조건에서도 평안을 누리며 산  한 사람의 세계적인 수학자

"김인강 박사" 이야기입니다.  

 

●충청도 농사꾼의 6남매 중 막내아들로 태어난 한 아이가 있었습니다.

 

그는 2살 때 소아마비를 앓았으나 너무 가난하여 치료시기를 놓쳤고, 그 후유증 때문에 “앉은뱅이” 로 

어린 시절을 살았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의 장애를 부끄러워하시며,

 

술을 마신 날이면, 저런 쓸모없는 놈 제발 좀 갖다버리라고 말하며  폭력을 휘둘렀고, 

 

어머니는 눈물로 지샜습니다. 

 

혼자 힘으로 설 수도 없었기에 기어 다녔습니다. 

 

비료 포대 위에 엎드려  한 손으로 땅을 짚고 다른한 손으론 포대를 잡아끌었습니다. 

 

어린 시절 그에게 친구라고는 병아리들과 강아지,  마당에 지천으로 피어 있던  작은 꽃들이 전부였습니다.

 

어머니의 등에 업혀 집에서 1시간 떨어진 초등학교에 

입학하고자 했으나, 

 

학교는 '장애인이란 이유' 로  그의 등교를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어머니와 아들은 그날  교문 밖에서 한없이 울었습니다. 

 

아들을 등에 없고 오는 길에  슬픈 마음으로 어머니는 아들의 꽁꽁 언 발을 만지며 

 

“ 아가야 춥지 ? ”  라고 따뜻하게 물으셨습니다. 

 

어머니의 그 한마디는 그에게 다른 어떤 말보다 값지고 

힘이 났으며, 

 

세상의 힘든 일들이 비수처럼 다가왔을 때  기억

나게 하는 말이었습니다. 

 

그 말은 어둠 가운데  생명과 빛으로 오신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 같았습니다.

 

그 날 이후 아들은 평안해졌고, 어떤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습니다. 

 

11세에, 집을 떠나 재활원에 들어갔고  굳은 다리를 펴서 보조기를 끼우고  목발을 짚으며 걷는 방법을 배우는데 

2년이 걸렸습니다.

 

그런 그가 공부에서는 늘 1등을 했고 선생님의 추천 덕분에  대전 중학교에 들어갔고, 

 

고등학교 입학 연합고사에서 만점을 받아 장학금을 받고 충남고등학교에 배정받았습니다.

 

TV가 크게 틀어져 있는 방 한구석에서 밥상을 놓고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를 하여 서울대학교 수학과를 입학했고 

미국 버클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카이스트와 서울대 교수를 거쳐 현재는 고등과학원(KIAS) 교수로 재임 중입니다. 

 

2007년엔 40세 이하의 과학자에게 주는 ‘젊은 과학자 상’을 받았습니다. 

 

그는 누구일까요? 

 

장애를 딛고 세상에서 온갖 냉대와 차별 속에서도  “인생을 기쁨공식으로 풀어낸” 【김인강 교수】 입니다.

 

그는 '3차원 다양체의 위상수학' 과 '기하학 분야' 의 세계적인

수학자로 명망이 높습니다.

 

김인강 교수는 자전 에세이 《기쁨공식》 을 펴내, 

 

소외받는 이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용기" 를 주었습니다.

 

이 책에서 장애를 딛고 촉망받는 과학자로 성장하기까지 

『지나온 삶』 을 진솔하게 고백합니다.

 

김 교수는 남들보다 조금 느리고, 조금 불편한 삶을 살고 있지만 

마음만큼은 누구보다 행복하다고 자부합니다. 

 

그는 “진정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 공식“ 을 들려줬습니다.

 

김 교수는 주위의 온갖 냉대와 차별 속에서도 장애를

이겨낼 수 있었던 "신앙의 힘" 에 대해 이야기 하고, 

 

하나님이 그를 위해 마련해 둔 계획은 달랐다고 털어 놓았습니다. 

 

그는 또 고통스러운 육신 안에서 수학을 전공하면서 

그 곳에서 만난 하나님과 그분 안에서 발견한 “기쁨 공식”

에 대해  담담하게 이야기합니다. 

 

다음은 《기쁨 공식》 책의 

“불완전한 자를 쓰시는 하나님” 

내용입니다.

 

▼ 나는 끔찍한 고문과도 같은 

재활 치료 끝에 초등학교 6학년 때 

보조기를 끼고 목발을 짚고 

처음으로 일어설 수 있었다. 

 

대학교 3학년 초, 

목발을 짚고 무거운 가방을 맨 체 

너무 많이 걷다 보니 

 

갈비뼈와 폐가 부딪쳐 

폐에 큰 구멍이 났다. 

 

의사가 당장 수술하지 않으면 

죽을 수도 있다고 했다. 

 

나는 기도원 한 구석에 엎드려 

기도하기 시작했다.

 

“ 하나님 

왜 나한테만 이렇게 가혹하신가요 ? 

 

항상 아프기만 하고.. 

아무 쓸모없는 나를 데려가 주세요. ” 

 

그때 문득 등 뒤에서 

찬송소리가 들려왔다.

 

“ 내 모습 이대로 주 받아 주소서. 

날 위해 돌아가신 주 날 받아주소서. ” 

 

그 순간 자아가 꺾이며 

회개가 터져 나왔다. 

 

욥처럼 하나님의 모든 주권과 

통치권을 인정하게 되었다.

 

나처럼 연약한 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 

내게 주신 하나님의 뜻임을 깨달았다. 

 

하나님은 

“육신을 의지하지 않는 법” 을 

내게 가르쳐주셨다. 

 

나는 아파서, 누워있는 동안 

‘기도하는 법’ 과 

‘성경 읽는 법’ 을 배웠다. 

 

고통 하는 가운데서도 

‘찬양하는 법’ 을 배웠다. 

 

나는 

육신의 나약함에 끊임없이 노출되었지만, 

하나님은 그것을 인해 

『약한 데서 강해지는 법』 을 배우게 하셨다.

 

【예수님】 은 나에게 

‘세상의 모순과 절규’ 를 알려주었고, 

‘과거와 현재를 바라보는 방법’ 을 

알게 하셨다. 

 

세상이 나를 죄인 취급할 때 

하나님은 나를 변화시키시며 

당신이 하실 일을 계획하셨다. 

 

나의 연약함이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질그릇이 되게 하신 것이며 

 

나를 변화시켜 

하나님의 이름과 

선하심을 나타내려 하셨다. ▲

 

 

만에 하나 쯤 생길 수 있는 

"경이로운 인간승리 이야기" 입니다.

 

나는 《인강》이 살아온 삶의 과정을 

숨죽이며 읽어 내려갔다.

 

“김인강” 은 말했다. 

 

『 이웃을 돕는 다는 것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다.

 

자신의 인생을 

진정으로 공유할 수 있어야만 

가능하다. 』

 

이 한마디가 나를 사로잡았다. 

 

경험에서 얻어진 

생명력 있는 명구 (名句) 다.

 

“인강” 은 어디서나 

사람들의 시선을 받았다.

 

동정의 시선 , 호기심의 시선, 

경멸의 시선... 

 

그 눈초리가 무엇이었던 간에 

“인강” 은 견디기 힘든 모욕감을 느꼈다.

 

눈총을 받아내기 위해 

무감각을 연습했다.

 

뜨거운 물속에서 ‘이건 안 뜨겁다’ 고 

주문을 외우는 것과 같았다.

 

정신적으로 견딘다 해도 상처가 남는다.

 

상처 위에 덧 입혀져 

무감각해질 때까지 버티는 동안

어느덧 “인강의 마음” 은 딱딱해지고 

얼굴에선 웃음이 사라졌다.

 

대학에 들어와 성경공부를 하다가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기 전에 

온갖 모욕을 당하시는 구절들을 읽었다.

 

마치 “인강” 자신이 당하는 것 같았다. 

 

뺨을 때리고 침을 뱉고 희롱 당하고 

업신여김을 당했던 예수님의 고난을 

인간은 자신의 처지로 이입시키는 

놀라운 체험을 한다.

 

예수님은 그렇게 모욕을 준 사람들에게 

"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 이다. "

 

이 말씀이 인 강의 가슴을 쳤다. 

완전한 용서 완전한 사랑이었다.

 

이렇듯 하나님께 접붙여진 순간 

“인강” 은 아버지를 용서했다. 

그를 보고 놀렸던 아이들도 용서했다.

 

그리고 나서야 웃음이 회복되었다.

막혔던 기쁨의 샘물이 터졌다.

 

♠ 《김인강을 읽으면서한대 얻어맞은 것처럼 

《현기증》 이 일어났다.

 

지지리도 가난했던 중중장애 앉은뱅이 소년이 

대학교수가 된 과정을 써내려 간 그의 ‘성공담’ 이 아니다.

 

그가 걸어온 과정을 진솔하게, 솟아날 구멍이 없는 절망

속에서  하늘을 쳐다보며 견디어낸,

 

그 ‘힘의 원천’ 이 피부로 느낄 만큼 강렬하게 다가왔기 때문이다.

 

나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신윤표 박사 글 옮김

 


배너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