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3 (화)

  • 맑음동두천 1.5℃
  • 맑음강릉 9.0℃
  • 연무서울 2.1℃
  • 구름조금대전 0.2℃
  • 박무대구 -0.8℃
  • 연무울산 4.4℃
  • 박무광주 3.8℃
  • 구름조금부산 8.9℃
  • 맑음고창 6.4℃
  • 맑음제주 6.3℃
  • 맑음강화 1.5℃
  • 맑음보은 -2.7℃
  • 맑음금산 -3.3℃
  • 맑음강진군 0.0℃
  • 맑음경주시 -2.6℃
  • 맑음거제 4.0℃
기상청 제공

기고/칼럼

설날의 유래

설날의 유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설날은 우리민족 최대의 명절이다. 본래 설날은 조상 숭배와 효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먼저 간 조상신과 자손이 함께 하는 아주 신성한 시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대부분이 도시생활과 산업사회라는 굴레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에 와서 설날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니는데, 곧 도시생활과 산업사회에서 오는 긴장감과 강박감에서 일시적으로나마 해방될 수 있는 즐거운 시기라는 의미도 함께 지니게 된 것이다.

설날은 세속의 시간에서 성스러운 시간으로 옮겨가는 교체기라고 할 수 있다. 즉 평소의 이기적인 세속생활을 떠나서 조상과 함께하며 정신적인 유대감을 굳힐 수 있는 성스러운 시간이 바로 설날인 것이다. 또한 개인적인 차원을 떠나서 국가 전체적으로 보더라도 설날은 아주 의미 있는 날이다.

국민 대부분이 고향을 찾아 떠나고, 같은날 아침 차례를 올리고, 또 새옷을 즐겨 입는다. 여기에서 우리는 같은 한국사람이라는, 같은 한민족이라는 일체감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볼 때도 설날이 가지는 의미, 즉 공동체의 결속을 강하게 한다는 점에서는 단순한 명절 이상의 기능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 원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이고, 설날은 그 중에서도 첫날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설날의 어원에 대해서는 대개 세가지 정도의 설이 있다.

▶ 설날을 " 낯설다. "라는 말의 어근인 "설"에서 그 어원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설날은 "새해에 대한 낯설음" 이라는 의미와 "아직 익숙하지 않는 날"이란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설날은 묵은 해에서 분리되어 가는 전이과정으로, 아직 완전히 새해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그러한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설날은 "선날" 즉 개시라는 뜻의"선다"라는 말에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선날"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 되어 설날로 와전되었다는 것이다.

▶설날을 "삼가다" 또는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옛말인 "섧다"에서 그 어원을 찾기도 한다. 이는 설날을 한자어로 신일(愼日) 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신일이란 "삼가고 조심하는 날 "이란뜻인데, 이는 완전히 새로운 시간 질서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간의 모든 언행을 삼가고 조심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생긴 말이다. 한편 설날은 원일(元日), 원단(元旦), 정조(正朝), 세수(歲首), 세초(歲初), 세시(歲時), 연두(年頭), 연시(年始)등의 한자어로도 불린다.

설날의 유래 
설날이 언제부터 우리민족의 최대 명절로 여겨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러나 설날을 명절로 삼기 위해서는 우선 역법이 제정 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설날의 유래는 역법의 제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가 나름대로의 역법을 가지고 있었음은 중국인들도 진작 인정하고 있었다. 
✳역법☞[천체적 주기적 현상을 기준삼아 달, 날짜, 시간 따위를 구획하는 방법]

에 이미 부여 족이 역법을 사용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신라 문무왕 대에는 중국에서 역술을 익혀와 조력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미루어 보더라도 우리민족은 단순한 중국 역법의 모방이 아니라 자생적인 민속력이나 자연력을 가졌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짐작할 수 있다.

또 신라의 독자적인 명절이라 할 수 있는 가위나 수릿날의 풍속이 있었다는 사실에서도 우리민족이 고유한 역법을 가졌을 가능성을 충분히 추측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는 중국 전래의 태양태 음력이나 간지법 이외에 우리 고유의 역법 제정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설날은 적어도 6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태양태음력을 받아들인 이후 태양력을 기준으로 제정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설과 정월대보름, 삼짇날, 팔공회, 한식, 단오, 추석, 중구, 동지를 9대 명절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과 한식, 단오, 추석을 4대 명절이라 하였으니, 이미 이 시대에는 설이 오늘날과 같이 우리민족의 중요한 명절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

 원일조에도 설날부터 사흘 동안 시내의 모든 남자들이 왕래하느라고 떠들썩하고, 울긋불긋한 옷차림이 길거리에 빛나며, 길에서 아는 사람을 만나면 반갑게 웃으면서 " 새해에 안녕하시오.? "하고 좋은 일을 들추어 하례한다.

예컨대 아들을 낳으시라든지, 승진하시라든지, 병환이 꼭 나으시라든지. 돈을 많이 벌라는 말을 하는데 이를 덕담이라 한다고 하였다. 또  원일조에 연소한 친구를 만나면 "올해는 꼭 과거에 합격하시오!" "부디 승진하시오!" "생남 하시오!" "돈을 많이 버시오!" 하는 등의 말을 하는데, 서로 축하하는 이 말을 덕담이라 한다고 하였다.

배너


칼럼




오늘의 사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