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2 (화)

  • 맑음동두천 11.4℃
  • 맑음강릉 14.3℃
  • 맑음서울 13.9℃
  • 맑음대전 12.3℃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3.1℃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7.5℃
  • 맑음강화 11.2℃
  • 맑음보은 9.1℃
  • 맑음금산 9.7℃
  • 맑음강진군 14.6℃
  • 맑음경주시 11.2℃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사회일반

퇴직하고 노는 중·고령층 9년간 10%p↑…"취업형일자리 늘려야"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조사 결과…'일자리 유지' 비율 5.4%p↓

 

국내 중·고령층 인구 중 은퇴 후 미취업 상태로 남아 있는 비율이 최근 9년간 10%포인트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분석한 '중고령자의 주된 일자리 은퇴 후 경제활동 변화와 특성'에 따르면 국내 55∼64세 중고령자 인구 중 자신의 생애 주된 일자리(임금·비임금근로 모두 포함)에서 퇴직하고 '현재 미취업 상태'인 비율은 2014년 27.9%에서 2022년 38.8%로 증가했다.


반면 '생애 주된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같은 기간 34.6%에서 29.2%로 5.4%포인트 줄었다. 이직해서 현재 재취업 상태인 비율도 29.8%에서 29.3%로 소폭 감소했다.


연구진은 "아직은 생계를 위한 경제활동이 필요한 55∼64세의 시기에 적절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비중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에 따른 퇴직 평균 연령은 약 52세였다. 중·고령층 임금근로자의 약 30%는 이같은 회사요구로 인해 비자발적으로 자신의 주된 일자리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55∼64세 중·고령자들이 주 일자리 퇴직 후 재취업한 사례를 살펴보면 임금근로자로 재취업한 경우가 자영업, 고용주 등 비임금근로자가 된 경우보다 많았다. 임금을 받던 근로자가 퇴직 후 자영업자로 전환한 경우는 2014년 9.9%에서 2022년 7.4%로 꾸준히 감소했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재취업 일자리 중 단순노무직인 경우가 33.1%로 가장 많았지만, 비중은 9년간 10.0%포인트 줄었다. 대신 사무직이 6.3%→8.1%, 서비스직이 12.0%→17.0%로 늘었다.


연구진은 "베이비붐 세대를 포함한 주된 일자리 은퇴 고령층을 위해 '취업형 노인일자리'를 확충해야 한다"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소득 보충이 가능한 취업형 일자리 수요 증가에 대비해 이에 집중한 (일자리) 확충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기존 취업형 노인일자리 사업은 여전히 대부분의 일자리가 경비, 청소 등 단순노무 직종에 집중돼 있다"며 "분석 결과와 같이 최근 들어 단순노무로 재취업하는 비율은 줄고 서비스직, 전문직으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증가해 향후 다양하고 전문성 있는 일자리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