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일반

대통령실 참모진 재산 첫공개…김현지, 대장동아파트 등 11억원

'재산 1위'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 대치동 주택 6채·구의동아파트 1채이태형 민정비서관 장·차남, 22억9천 상당 송파 헬리오시티 공동 보유 김용범 정책실장, 4년만 재산 갑절 늘어…하정우 AI수석, '현금재산 1천원' 신고

이재명 대통령 발언 듣는 참모진사진 연합뉴스)

 

지난 7월1일까지 임명된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 참모 31명은 평균 22억2천만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고위공직자 재산등록사항 중 대통령실 고위공직자의 재산 평균액이다.


이번 공개 대상은 6월 2일부터 7월 1일 사이 임명된 고위공직자로, 대통령실에서는 31명이 포함됐다. 이는 비서관급 이상 전체 참모진(55명)의 약 56%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번에 공개된 대통령실 고위공직자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김현지 총무비서관도 포함됐다. 그동안 세간에 알려진 정보가 많지 않아 관심을 받고 있는 김 비서관은 11억8천3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구체적으로 김 비서관은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더샵 판교포레스트아파트(7억5천만원 상당)를 배우자와 공동 보유했다. 김 비서관은 대장동 아파트를 주택 청약을 통해 매입했다고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배우자 명의의 성남시 분당구 사무실(3억1천만원 상당)과 모친이 거주하는 충북 청주시 흥덕구 아파트(1억4천만원 상당)도 등록했다.


김 비서관의 채무는 총 9억8천900만원이었다. 이 중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대장동 아파트 임대 채무가 6억3천만원, 배우자 명의의 금융 채무 가 2억3천만원 등이었다.


김 비서관은 배우자가 세무법인 '택스탑'에 지분 비율 20%로 4천만원을 출자했다고도 신고했다.

 

수석·보좌관 회의 참석하는 김현지 총무비서관(사진 연합뉴스)
 

대통령실 참모진 중 재산 1위는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으로 모두 60억7천800만원을 보유했다. 김 비서관은 이번 공개 대상 전체 공직자 중에서도 재산이 가장 많았다.


김 비서관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다세대주택 6채(총 가액 40억원)와 35억원 상당의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를 배우자와 공동으로 소유했다.


김 비서관의 현금 재산은 5천200만원이었다. 배우자 및 장·차남, 장녀가 보유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은 1억6천300만원이었다.


켄싱턴호텔앤리조트 콘도 회원권(1천만원), 배우자 소유의 마이다스이천골프클럽 회원권(2천100만원) 등도 등록했다.


대치동 다세대 주택 6채에 대한 건물 임대채무로 본인(9억2천200만원) 및 배우자(8억9천400만원) 명의로 총 18억1천600만원을 신고하는 등 채무액은 22억9천600만원이었다.


그다음으로는 문진영 사회수석(55억3천100만원), 이태형 민정비서관(55억3천만원), 최성아 해외언론비서관(47억7천800만원), 봉욱 민정수석(43억6천200만원) 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문 수석은 강남구 역삼동 주상복합건물(1억200만원), 용산구 이촌동 아파트(18억8천만원), 청파동2가 근린생활시설(13억9천만원) 등 건물 재산이 약 48억원이었다. 예금은 8억2천300만원, 증권은 1억9천400만원을 보유했고 현금은 100만원을 신고했다.


이 비서관은 송파구 잠실동 우성아파트(23억5천200만원)를 배우자와 공동 소유했으며, 장·차남 공동 명의의 가락동 헬리오시티 아파트(22억9천만원) 등도 신고했다. 장·차남은 해당 아파트를 보증금 11억8천만원에 전세를 준 상태다.


이 비서관의 장남은 예금 3억9천100만원, 차남은 예금 3억8천100만원과 3천만원 상당의 주식을 보유했다.

 

이 대통령 기조연설 듣는 참모진(사진 연합뉴스)
 

김용범 정책실장은 42억2천4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일 시절인 지난 2021년 3월 공개된 재산(22억3천900만원)과 비교하면 갑절로 늘어난 수치다.


이 기간 본인 명의 예금재산이 1억700만원에서 10억4천900만원으로 9억원가량 늘었다.


하정우 AI수석은 배우자와 공동으로 소유한 분당 수내동 파크타운 아파트(16억5천만원 상당)를 비롯해 총 28억6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예금 5억2천900만원, 증권 8억8천800만원을 보유했고 현금은 본인과 배우자, 장남, 모친이 각 1천원을 갖고 있다고 적어냈다.


재산 16억700만원을 보유한 권혁기 의전비서관은 서초구 서초동 롯데캐슬클래식아파트(26억5천만원)를 부부 공동 명의로 새로 매입했다고 신고했다.


권 비서관은 주택 매입을 위한 본인 명의 사인 간 채무 2억원, 배우자 명의의 금융채무 12억7천100만원을 함께 신고했다.


대통령실 참모 중 재산이 가장 적은 참모는 2억9천200만원을 신고한 전성환 경청통합수석이었다. 김남준 부속실장(4억1천300만원), 김용채 인사비서관(5억2천만원), 전치영 공직기강비서관(7억3천100만원), 김현종 국가안보실 1차장(7억5천100만원) 등도 재산 하위 5인에 들었다.


한편 국회의원 출신으로, 지난 3월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의 국회의원 재산 공개 때 이미 재산 정보가 공고된 이재명 대통령과 강훈식 비서실장, 위성락 안보실장, 강유정 대변인은 이번 공개 대상에서 제외됐다.


배너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