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년간 우리의 척박하고도 구수한 삶들과 함께 살아온 금강소나무. 산이 험해 일제의 손길도 피해서 살아남은 금강송 군락이 산불이란 재난 앞에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또 그 숲속에 깃들어 살아가는 위기종인 산양과 뭇생명들도 화마를 비켜 나진 못하리라. 수십대의 헬기로도 어쩔 수 없는 이 순간 수십년을 살아온 터전을 한순간 잿더미로 변하는 것을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이순간 무엇으로 위로를 할까 소광리는 2천247ha의 면적에 수령이 200년이 넘은 노송 8만 그루가 있다. 소광리는 국내 소나무 가운데서도 재질이 특히 뛰어나 최고로 치는 금강송 군락지로 유명하다. 2247㏊의 면적에 수령이 200년이 넘은 노송 8만 그루가 있다. 수령이 520년인 보호수 2그루, 수령 350년인 미인송 등 1000만 그루 이상의 다양한 소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지름이 60㎝ 이상 되는 금강송도 1600여 그루나 된다. 금강송은 조선 시대 왕실의 관곽(주검을 넣는 속널·겉널을 아우르는 말)과 건축재로 사용됐다고 전해진다. 산림청에 따르면 금강송은 여느 소나무보다 나이테가 세 배 더 촘촘해 뒤틀림이 적고 강도가 높다. 송진이 적은 편이어서 쉽게 썩지도 않는다. 울진 금강소나무
대만이 중국이 반도체 기술과 인력을 빼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법적 처벌 수위를 높였다. 중국은 반도체 산업을 키우기 위해 그동안 대만·한국 등 반도체 강국 인력 영입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었다. 미국의 견제로 외국 반도체 기술과 장비 접근이 막힌 후엔 외국 주요 반도체 기업의 기술 인력에 더 노골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세계 1위 반도체 위탁 생산(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 출신 다수가 현재 SMIC(중신궈지) 등 중국 반도체 회사에 몸담고 있다. 대만 행정원은 17일 국가 핵심 기술을 유출한 이른바 ‘경제 스파이’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의 국가안보법 개정안을 승인했다. 정부 지원을 받은 국가 핵심 기술 관련 종사자가 중국에 갈 땐 정부 허가를 받게 하는 내용의 양안인민관계조례 개정안도 승인했다. 개정안은 첨단 기술 전체를 포괄하지만, 사실상 대만의 상징과도 같은 반도체 기술을 지키는 게 핵심이다. 개정안은 국회 격인 입법원의 승인을 거쳐 차이잉원 총통이 공포하면 발표된다. 국가안보법 개정안은 대만 핵심 기술이나 영업 비밀을 훔쳐 중국이나 다른 외국 적대 세력에 넘기는 사람에겐 징역 최고 12년형을 내리고, 5000만~1억 대만달러(약 21억~43억 원)의
[선한 마음 밝은 세상ᆢ 모두가 사회적 책임 서울 근교에 건실한 중소기업이 있었습니다. 사장님은 나이가 드셨는데 직원들을 가족처럼 따뜻하게 대해 주었고 사랑을 베풀어 주었으며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하는 젊은 직원들에게 장학금을 후원해 주는 마음이 따뜻한 분 이었습니다. 어느날 출근한 경리 여직원이 금고에 있던 돈 200만원이 없어진것을 발견 했습니다. 도둑이 들었다고 생각한 여직원이 곧바로 경찰에 신고를 했습니다. 출동한 경찰은 수사 끝에 범인을 잡았습니다. 범인은 몇달 전에 입사한 신입 사원이었는데 이상하게도 평상시엔 말도 없이 일을 잘하는 직원 이었습니다. 검찰로 넘겨진 직원은 재판에 넘겨 졌습니다. 판결이 있는 날 사장님은 피해자 신분으로 증언대 앞에 서게 되었습니다. 판사의 마지막 말을 하시라는 권유에 사장님은 갑자기 눈물을 흘리기 시작 했습니다. 그리고 판사님께 마지막으로 부탁을 한가지만 드려도 되겠냐고 물었습니다. 판사가 고개를 끄떡이자 조용히 부탁을 드렸습니다. “존경하는 판사님! 여기 이 젊은이를 구속을 시킨다면 이 사회에서 완전히 낙오자가 되지 않을까요? 돈을 잘 간수하지 못한 저에게도 책임이 있습니다. 두 번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
<<군자삼락(君子三樂)과 오늘날의 기업삼락(企業三樂)>> 군자삼락(君子三樂) :「군자(君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첫째는 부모(父母)가 다 살아 계시고 형제(兄弟)가 무고(無故)한 것, 둘째는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셋째는 천하(天下)의 영재(英才)를 얻어서 교육(敎育)하는 것..... 오늘날로 비유하면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은 꼭 자기씨앗을 뿌리라는 의미가 아님. 기업삼락(企業三樂):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 기업 또는 기업에 대한 투자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영향을 측정. 기업에 대한 비재무적 평가 기준이 되는 환경, 사회, 지배 구조 관련 요소이다 ESG(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적 책임), Governance(지배구조))는 우리 시대 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 나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선순환을 이뤄 나갈 수 있는 기업삼락(企業三樂)의 길이다.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 끼어 있는 지금의 후진국 몽골이라는 나라가 인류 역사상 가장 넓은 땅을 정복한 위인(偉人)으로 손꼽을 수 있는 몽골의 칭기즈칸, 그의 원명은 태무진 이었는데 아버지의 후광 덕분에 위대한 지도자로 추대되어(1206년) 1227년 65세를 일기로 사망 합니다. 파란 만장(波瀾萬丈)한 생애(生涯)를 살았던 그에게도 큰 뉘우침을 준 사건 하나가 현대에 사는 우리들에게 감동을 준 일화(逸話)가 있었습니다 칭기즈칸은 사냥을 무척 좋아 했다고 알려 집니다. 사냥을 나갈 때면 항상 같이 다니는 사냥용으로 기르면서 함께 생활하던 매를 데리고 다녔고 매를 극진히 아끼고 사랑하며 마치 식구처럼 여기며 함께 생활 했습니다. 하루는 사냥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그는 어깨 위에 앉아있던 매를 잠시 공중으로 날려 보내고, 자신은 목이 말라 물을 찾았습니다. 가뭄으로 개울물은 말랐으나 바위틈에서 물이 똑똑 떨어지는 석간수(石間水)를 발견 했습니다. 그가 바위에서 뚝뚝 떨어지는 물을 잔에 받아 마시려고 하는데 난데없이 바람 소리와 함께 자신의 매가 손살같이 날아와 그의 손을 쳐서 물잔을 땅에 떨어뜨리는 것 이었습니다. 그렇게 계속하기를 세차례나 물 마시기를 매
새마을지도자들은 지구촌 최고 ESG 실천 전도사들입니다. 근면,자조,협동 새마을운동 정신에 상상력의 날개를 달아 소통과 교류를 나누면 새마을운동 미래는 노벨평화상은 기본! UN에 새마을날이 만들어지고 지구촌 최소 100여개국 대학교에서 새마을학과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VR.AR에 새마을 운동이 메타버스를 타고,지구촌 새마을지도자들이 가상세계에서도 엄청난 활동을 할 것입니다. 새마을운동 미래(메타버스.가상 새마을지도자 등등)에 대해서 계속하여 소통과 교류를 나눌렵니다. ㅡ최인식 ㅡ 한국문화상품연구소장.융복합 전략가.저널리스트 <최인식(본인)이 운영하는 on-line 새마을운동세계화포럼> *새마을운동세계화포럼(삼성경제연구소 새 이름 삼성글로벌리서치) https://www.seri.org/forum/Saemaeulmovement/ *새마을운동세계화(Saemaeul Movement globalization ) https://www.facebook.com/groups/saemaeulmovement/ <기사> *직공장새마을 제천시協, 집수리 봉사활동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 입춘인 오늘 하루라도 ‘오신채(五辛菜)’를 먹으며 정치권은 말싸움과 네거티브 중지하고 정치화합을 이루고, 일반 국민들은 가족의 화목과 인(仁), 예(禮),신(信),의(義),지(志)의 다섯가지 덕을 갖추고 건강의 면역력을 증대시키길! 입춘에 먹는 음식으로 5가지 나물인 ‘오신채(五辛菜)’를 빼놓을 수 없다. 오신채는 입춘채, 오훈채, 오신반이라고도 불린다. 지역에 따라 재료의 종류는 차이가 있으나 파, 마늘, 자총이, 달래, 평지, 부추, 무릇 그리고 미나리의 새로 돋아난 싹이나 새순 가운데 노랗고 붉고 파랗고 검고 하얀, 각색 나는 다섯 가지를 골라 노란색의 싹을 한복판에 무쳐놓고 동서남북에 청, 적, 흑, 백의 사방색 나는 나물을 배치해 먹었다. 이는 임금을 중심으로 하여 사색당쟁을 초월하라는 정치화합의 의미가 있으며, 일반 백성들에세는 가족의 화목을 상징하고 인(仁), 예(禮), 신(信), 의(義), 지(志)의 증진을 의미한다. 수여산 부여해 (壽如山 富如海)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소지황금출 개문백
<<글로벌 ESG경영과 효경영>> “효(孝,HYO)와 바른 人性” "현대적 개념의 효ㅡ HYO=(Harmony of Young & Old /노소간 조화, 화합, 상생, 소통)" "현대적 개념의 효경영(제가 정리하는 중)" ㅡ인간존중생산성,노사화합,윤리경영,동반성장,상생경영,노블리스오블리스,공유경제,사회적공헌,사회적책임ㅡ 1. 효는 백행지본, 백행지원 효 사상은 동양 사상의 원류라 할 수 있는 유학(儒學)에서 오상五常(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根本이요 백행지본(百行之本(源))이라 일컬어져 온 바, 효문화는 역사적으로 우리 민족의 인성교육에서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해 왔었다. 또한 부모공경 즉 효는 성경의 십계명의 인간관계 계명 중 약속 있는 첫 계명이요, 모든 고등 종교의 교리가 강조하는 핵심 사상이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의 첩경은 ‘효’ 교육이라 할 수 있다. ○ 孝者百行之本 (孔子) ○ 孝者百行之源 (退溪) ○ 孝者百行之首 (栗谷) ○ 孝者正家之道 (栗谷) ○ 父母恭敬之對人倫理첫誡命(聖經) 2. 효 : 부모님을 사랑하고 공경함으로 잘 섬기는 것(愛•敬•事). 현대적 개념의 효 HYO=(Harmony of Young & Old
어린 자녀들에게 발전된 습관과 습성을 ※인도의 聖子 간디의 말씀. 나라가 滅亡할 때 나타나는 일곱가지 社會惡. * 勞動 없는 富. * 良心 없는 快樂. * 人格 없는 敎育. * 道德 없는 商業. * 人間性 없는 科學. * 犧牲 없는 宗敎. 이것이 오늘 우리 사회의 자화상을 보는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쩌면 저렇게도 그의 말대로 우리가 닮아가고 있는 것인지 정신이 아찔합니다. 하나 하나 다시 읽어 봅니다. 우리의 현실을 예언 한듯 합니다. 소름이 끼칩니다. 정신을 가다듬을 때 입니다. 1. 한국인은 좋은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자랑으로 알지만, 일본인은 평범한 근무복이나 작업복을 입고 다니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2. 한국인은 호의호식 하는것을 성공으로 알지만, 일본인은 공기밥 1사발, 단무지 3개, 김 3 장 정도면 충분하다고 여긴다. 3. 한국인은 크고 으리으리한 집에 사는 것을 자랑으로 알지만, 일본 수상이나 일본인은 20평 정도 집에서 사는 것을 자족으로 알고 만족한다. 실제로 전직수상이나 각료들이 20평규모의 집에 사는 것이 일반화된 나라다. 4. 한국인은 비싼 외제승용차를 몰고 다니는것을 자랑으로 알지만, 일본인
간암 투병 끝에 별세한 방송인 고 허참(본명 이상용)의 빈소가 1일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빈소가 마련됐다. 향년 73세. 허참은 간암으로 투병 생활을 하던 중 세상을 떠났다. 허참은 1970년대 음악다방 '쉘부르' MC로 처음 진행 마이크를 잡았다. 활약을 인정받은 그는 이듬해 TBC 음악 프로그램 '7대 가수쇼'에서 MC를 맡으며 방송가에 데뷔했다. 이후 그는 정확한 전달력과 유쾌한 입담으로 존재감을 드러내며 KBS 2TV '쇼쇼쇼', '도전 주부가요스타' 등에서도 MC로 활약했다. 특히 허참은 KBS 1TV '가족오락관'을 통해 '국민 MC' 반열에 올랐다. 1984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25년에 걸쳐 1237회 동안 방송된 '가족오락관'은 다양한 게임을 통해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오락 프로그램을 표방했다. 허참은 '가족오락관'의 시작과 끝을 함께 했다. 발인은3일오전에치러진다.장지는부모의묘가있는경춘공원묘원이다.
내가 이 글을 쓰기 전에 먼저 나는 그 누구 보다도 나는 베트남과 베트남 사람들을 사랑하고 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나는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 그 누구 보다도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있는 한국사람 중에 하나다. 나는 그 일, 베트남 전쟁에 대하여도 2022년도를 맞아서 다시 한번 베트남 전체 국민들에게 베트남 전쟁에 참가된 국가의 국민으로써 사죄를 드린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베트남과 베트남 국민에게 더 많이 빚을 지고 있는 사람이다. 2019년 말부터 시작되 COVID-19 팬데믹에서 베트남 정부는 그 어떤 나라들 보다도 빠르게 COVID-19에 대한 적절한 대처로 인해서 성공적인 방역 모범 국가가 되었다. 그 대처는 오로지 베트남 정부 관계자가 베트남 국민에 대한 자국 내에서의 자유로운활동이가능하게하기위한베트남국민을위한신속한조치였다고나는생각한다. 나는 베트남 정부와 베트남 국민이 강대국을 두려워하지 않는 강한 자존심과 실행력을 가진 점에 대해서 매우 존경한다. 그것은 모든 세계 국가와 국민이 다 가질수 있는 그런 쉬운 것이 아니다. 그것은 매우 용감하고 과거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온 용맹한 국민성에서 이어진 전사로써의 용기라고 생각한다. 베트남은 2020년도
2021년 한해 일어난 기후변화재난 피해액이 상위 10건만 합쳐도 200조원이 넘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게다가 1000억 달러(119조원) 이상의 막대한 피해 규모를 기록한 해가 최근 5년 사이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기독교 구호단체 크리스천에이드는 이날 ‘기후 붕괴의 해 2021년: 비용 계산’ 보고서를 통해 올해 가장 파괴적인 10개의 기후재난이 초래한 피해 규모가 1703억 달러(약 202조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최악의 기후변화재난으로는 지난 8월 미국 동부를 강타한 허리케인 아이다가 꼽혔다. 미 루이지애나 등 지역에 집중호우와 강풍을 뿌린 아이다는 총 95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650억 달러(약 77조원) 피해액을 남겼다. 당시 최대 풍속은 시속 240㎞에 달했다. 지난 7월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등을 휩쓴 유럽 홍수 사태가 발생시킨 피해액이 430억 달러(약 51조원)로 그 뒤를 이었다. 당시 사망자만 240명에 이르렀으며 정확한 이재민 수는 제대로 파악되지 않을 정도였다. 약 20일 전 이례적으로 겨울에 발생해 미 중부에서 210명을 숨지게 한 토네이도는 230억 달러(약 27조원)의 피해를 입
3농( 농업·농촌·농민)이 국민들한테 열광적으로 사랑받는 비결이 아래에 대부분 국민은 농업에 우호적 ᆢ안전한 먹거리 생산 등 힘써야 우리 국민 상당수는 농업·농촌에 대해 우호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행스럽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9세 이상 도시민 1500명과 농민 1044명을 대상으로 지난해말 실시한 ‘2021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도시민 59.4%는 “농업·농촌의 공익가치가 많다”고 답했다. 우리 농업이 식량 생산·공급 외에 생태·환경 보전, 여가·휴양, 문화 보존 공간으로서 제공하는 공익적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뜻이다. 공익적 기능 유지를 위한 추가 세금 부담에 동의하는 비율도 60.1%에 달해 전년보다 6.9%포인트 높아졌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9.1%포인트 낮아진 27.9%였다. 아울러 도시민 83.6%는 앞으로 국가 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농촌복지 증진과 농민 대상 세제 혜택 필요성에도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복지와 관련한 예산 증대에 대해 찬성하는 비율이 49.7%로 반대보다 약 5배나 높았다. 여기에 더해 현재 농민에게 부여하는 부가가치세·소득세 면제 등
"국민대통합은 국가경쟁력의 제 1순위이다. 국가지도자란 남남갈등.지역갈등,세대간 갈등을 극복하고 국민대통합을 이루어야하는 것이 기본이다. "(대다수 국민들의 의견) ******************************************************************** 한동안 잠잠했던 선거판 지역감정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의해서다. 그가 그제 광주에서 한 발언 내용을 보면 ‘국민통합 대통령’을 자처하는 후보가 맞는지 그 진정성부터 의심할 수밖에 없다. 그는 “박정희 정권이 자기 통치구조를 안전하게 만든다고 경상도에 집중 투자하고 전라도를 소외시켰다”고 했다. 자신의 소년공 시절을 언급하며 “초등학교를 마치고 성남 공장에 취직했더니 관리자는 경상도 사람인데 말단 노동자는 다 전라도 사람이었다”고도 했다. “부산공항은 국가 돈으로 지어주면서 광주공항은 ‘네 돈으로 해라’ 하면 안 될 것”이라며 “아들딸들에게 전화해 달라”고 노골적으로 지역감정을 부추겼다. 이 후보는 당초 경기지역 순회를 이어갈 예정이었지만,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전날 광주 서구 아파트 붕괴사고 현장에서 쫓겨난 것을 보고는 호남 민심이 심
국회가 올해 첫 본회의에서 처리한 의안들 가운데 눈에 띠는 게 있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121곳의 이사회에 노동자 대표를 참여시키는 공공기관운영법 개정안이 그것이다. 재계, 야당, 학계 등의 거센 반발을 묵살하고 재석 210명 중 여당 의원 176명 찬성으로 뚝딱 의결했다. 정부는 이미 공공기관 임원 임면권을 갖고 있으므로 노동자 대표를 얼마든지 이사로 앉힐 수 있는데도 굳이 법을 개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사기업에도 노동이사제를 도입하려는 속셈이 엿보인다. 오래전부터 좌파 성향 의원들이 끊임없이 제출한 개정안들이 별로 논의되지 않고 폐기됐으나, 이번에는 여당이 노동계와의 약속을 지키려고 반발을 무릅쓰고 해치울 작정인 듯싶다. 여당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한 이번 국회는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특히 빈번한 노동 관련 법령 개정으로 기업들을 힘들게 하더니 급기야 기업의 기본법인 상법에도 마의 손길을 뻗치려 한다. 우리나라 기업 형태의 98%나 되는 주식회사에 노동이사제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다수에 의한 폭거로 지탄받아 마땅하다. 기업은 자본, 노동, 경영의 3요소가 조화롭게 결합돼야 존립하고 발전할 수 있다. 자본(지배주주 등)이 지나치게 경영을 쥐고 흔들거나, 노동
《국가정보관리원 복구현장에 14일만에 찾아간 이재명 대통령의 늑장행보와 국가리더십 실종》 * 사진출처 연합뉴스 2025년 9월 26일 발생한 국가의 정보심장이라 불리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사고였다. 국가정보자 원관리원 화재는, 실제 마비된 전산망의 범위나 규모를 보면 심각했기에 정부는 위기경보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중 최고단계인 심각 단계로 올렸다. 그러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발생 10여일 지나서야 전산망이 파괴된 숫자가 647개가 아니라 709개라고 확인되는 등 정부는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우선하는 국정은 존재할 수 없는데, 이번 참사는 국가 주요 전산망을 마비시키고, 국민 생활 전반에 걸친 행정·금융·의료 시스템을 뒤흔든 국가적 재난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침묵과 회피로 일관하던 이재명은 사건 발생 14일이 지난 10월 10일에서야 현장을 찾았다. 사고발생후 이재명의 48시간 행적을 궁금해하고, 수많은 국민들이 불편과 불안을 겪는 동안 이재명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국가정보의 심장이 마비되고 국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화재처리중, JTBC 사장출신 홍보수석의 주선인
빈손으로 와 빈손으로 간 위대한 인물 공병우! 1907년 평안북도에서 태어난 공병우(公炳禹1907-1995) 박사의 삶은 '최초'라는 수식어로 가득했다. 대한민국 최초의 안과의사! 최초의 안과 병원 개원! 최초의 쌍꺼풀 수술! 최초로 콘택트렌즈 도입! 이같이 화려한 경력으로 한때는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세금을 많이 낼 정도로 부를 쌓기도 했다. 하지만 공병우 박사는 애초에 돈 버는 것에는 관심이 없는 사람이었다. 그의 관심은 온통 자신의 지식을 세상에 어떻게 사용할까였다. 그런 그의 삶에 운명적 만남이 이루어진다. 눈병 치료를 받으러 왔던 한글학자 이극로(李克魯,1893-1978) 선생과의 만남이었다. 그와의 만남으로 과학적이고 우수한 우리의 한글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관심을 쏟게 된 것이다. 이후 공병우 박사는 한글 타자기 개발을 시작한다. 병원도 그만두고 얼마나 온 정신을 기울였던지 사람들은 '공병우 박사가 미쳤다'며 수군거리기도 했다. 그러한 열정 덕에 공병우 박사의 한글 타자기는 미국 특허를 받게 되었고 많은 사람이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병우 박사의 도전은 멈춤이 없었다.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 한글 타자기도 개발해
VIP는 누구인가? 우리나라의 한 재벌회장 이야기입니다. 한 유명 기자 겸 중견작가가 중요한 일로 회장과 예정에 없던 인터뷰를 했습니다. 인터뷰를 마치자 회장이 말합니다. "저녁식사를 모셔야 하는데 오늘 마침 중요한 VIP와 선약(先約)이 있어서요. 다음에 꼭 모시겠습니다." 작가는 그게 누군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물었습니다. "혹시 외국에서 온 고위급 정치인이나 재벌회장입니까?" 회장이 웃으면서 대답합니다. "아닙니다. 父母님과 妻, 子息 등 제 가족입니다." 작가가 감동을 받아 자신도 그날...다른 약속을 모두 취소하고 VIP를 만나러 집으로 갔다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최고의 성공은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일이며...이 세상에서 최고의 VIP는 가족입니다. 아침 출근하며 아내에게 말했습니다. "내일은 저녁을 밖에서 먹어야 할 것 같아... 내가 아는 최고의 VIP와 저녁을 같이 먹기로 했거든" 아내가 물었습니다. "하~ 좋으시겠네 그게 누군데요?" 내가 말했습니다. "누구긴 당신하고 내 아이들이지" 출근하면서 언뜻 보니 아내가 콧노래를 흥얼거리며 청소를 하네요. "당신은 나의 'V VIP'입니다." 사람이 삶을 살면서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중국의 초한전 침투로 위기의 대한민국》 오늘의 대한민국은 총성이 울리지 않는 체재전쟁의 한복판에 서 있다. 중국이 구상해온 초한전, 즉 한계를 넘어선 전쟁이 우리 사회 전 영역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기 때문이다. 초한전은 단순한 군사 충돌을 의미하지 않는다. 정치, 경제, 문화, 정보, 사이버, 심리전까지 활용해, 상대를 무너뜨리는 전방위 침투 전략이다. 문제는 이 초한전의 최전선에 대한민국이 서 있는데, 위기의식을 못느끼고 있다는 사실이다. 정치 영역에서 중국의 그림자는 이미 짙다. 친중매국노, 친북주사파 세력이 정당과 언론, 시민단체 곳곳에 뿌리를 내리며 반미, 반일 담론을 확산시킨다. 중국공산당은 민주주의라는 외피를 쓰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무력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으며, 특히 시진핑의 책사이자 공작 설계자인 왕후닝이 주도한 부정선거 공작시도가 대표적이다. 그는 초한전 전략의 연장선에서 한국의 선거제도와 여론 형성 과정에 개입하여, 전자개표기 논란, 해킹 가능성, 여론조작을 결합한 교묘한 흔들기를 시도했다. 선거가 민주주의의 심장이라면, 왕후닝은 바로 그 심장을 겨냥한 것이다. 경제 역시 국가보조금 지급과 저임금에 의한 중국산 저가제품 공세로 산업생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