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이끌 국가 지도자(National leader)의 자격>> 여.야 차기 대선후보들의 뉴스를 접할때마다 진정 우리나라 대통령을 뽑는것인지 심히 우려스럽습니다. 울 국민들 수준이 이것밖에 안되었나? 하는 자괴감이 듭니다. 삼성전자.BTS.오징어게임 등 세계에서 자랑하고 부러워하는 나라이거늘... 국가 지도자의 자격에 대하여 말씀 드리겟습니다. 첫째,구국제민(救國濟民)의 사명감과 대안이 있어야합니다.... 인민재판과 선동의 정치적 싸움이 아닌 이 민족을 지켜야합니다. 지금 대한민국이 처해진 외교.안보.코로나 사태로 인한 자영업 몰락.지방소멸.심각한 저출산과 고령화.양극화 등등 풍전등화(風前燈火)의 난국을 헤쳐나갈 융복합 정책적 비전과 대안을 제시해야합니다.(모세의 출애굽 참조) 둘째,국가 경영의 이론과 기능을 겸비해야 합니다.(온고지신과 미래통찰 ㅡ1차산업과 제4차산업혁명 시대까지 포함하여 국가 경영 기획,조직,참모구성,교육훈련,소통과 협력(협업),섭외,보고,예산평가,인간관계(개인 및 국가간에)를 가져야.... 셋째,사람의 정신과 사명감을 분석할 줄 알아야합나다. 소명,중생,회계,믿음,수양,성화,견일(참을성),영화...
<<도산 안창호의 희망편지>> -내가 이에 간절히 부탁하는 바는 이것이외다. 여러분은 힘을 기르소서, 힘을 기르소서, 이 말씀이외다. -힘은 건전한 인격과 공고한 단결에서 난다는 것을 나는 확실히 믿는다. 그러므로 인격 훈련과 단결 훈련 이 두 가지를 청년 제군에게 간절히 요구하는 바이다. -네 가죽 속과 내 가죽 속에 있는 거짓을 버리고 성(誠)으로 채우자고 거듭 거듭 맹서합시다. -진리는 반드시 따르는 자가 있고 정의는 반드시 이루는 날이 있다고 나는 믿소. -우리는 어디를 가든지 오직 정의돈수(情誼敦修) 네 글자에 의지해서 삽시다. -왜 우리 사회는 이렇게 차오. 훈훈한 기운이 없소. 서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빙그레 웃는 세상을 만들어야 하겠소. -세상의 모든 일은 힘의 산물이다. 힘이 적으면 적게 이루고 힘이 크면 크게 이루고 만일 힘이 없으면 도무지 일은 하나도 이룰 수가 없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자기의 목적을 달하려는 자는 먼저 그 힘을 찾을 것이다. -천사만려(千思萬慮)하여 보아도 우리의 독립을 위하여 믿고 바랄 바는 오직 우리의 힘이외다. -나는 우리 민족의 장래에 큰 소망을 가집니다. 나는 우리 민족의 본질에 대하여 조금도
패트릭 무어(Patrick Moore)박사 쓴소리 “친환경 구실로 국민에게 값비싼 재생에너지 청구” “좌파 정부와 시민단체, 환경을 정치 도구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탈원전 정책은 “근거 없는 공포가 올바른 과학을 침몰시킨 결과”..무어는 환경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하는 사람들을 ‘환경 탈레반’이라고 부른다 무어는 그린피스 1세대다. 창립부터 세계적 환경 단체로 성장하는 과정에 관여했다. 그러다 1986년 그린피스를 떠난다. 그는 15년 동안 벌인 활동을 정리하면서 그린피스가 “더 이상 과학과 논리에 기반한 ‘환경 단체’가 아니라, 선동과 선정주의에 빠져 돈과 권력을 탐닉하는 ‘기부금 모금 단체’로 변질했다”고 했다. 있지도 않은 재앙을 과장하고 인류에게 공포감을 심어주면서 결과적으로 사익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무어는 2006년 미국에 원전(原電) 지원 단체를 만들었다. “청정·안전·효율 측면에서 미래 핵심 에너지원은 원자력이어야 한다는 과학적 판단 때문이었다”고 했다. 그는 “태양광과 풍력은 경제 전반의 ‘기생충’”이라면서 “넓은 면적의 땅을 낭비하고, 햇빛이나 바람이 없을 때는 원자력·수력·천연가스 같은 안정적 에너지원이 뒷받침돼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
대한민국이란 국명의 뜻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나라 이름은 무슨 뜻일까? 어디서 유래가 되었을까? 더 나아가, 어떻게 대한민국이 국호가 될 수 있었을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우리나라 역사 교육에서도,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에 대해서는 비교적 비중 있고, 깊게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모든 내용은 어쩌면 우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 한 줄 요약 :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우리나라 이름의 뜻에 대해 알아보자 ※. 대한민국 뜻과 유래 '대한민국'의 유래는 고종시대에 만들어진 국가 이름 '대한제국'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당시, 고종은 중국으로 부터 독립을 선언 하고, 새로운 황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대한제국 이전 우리나라 국호는 조선이었다. 조선이라는 국호 에는 사대주의가 포함되어 있다. 조선을 세운 이성계 가 명나라에게 국가 이름을 선택해 달라고 했기 때문이다. 이때 명나라는 조선이라는 이름을 선택했고, 이게 결국 우리나라의 이름이 되었다. 조선이라는 이름 에는 사대주의가 포함되어 있었기에, 고종은 국가의 이름을 바꾸고자 했다. '대한(大韓)'에
참을인(忍)자는 칼도(刀)자밑에 마음심(心)자가 놓여 있습니다. 글자대로 참을인(忍)자를 해석하자면, 가슴에 칼을 얹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 됩니다. 가만히 누워있는데 시퍼런 칼이 내가슴위에 놓여있습니다. 잘못하면 가슴위에 놓인 칼에 찔릴지도 모를 상황 입니다. 상황이 이런데 누가와서 짜증나게 건드린다고 뿌리칠 수도 없고, 자리를 박차고 일어날 수도 없습니다. 움직여 봤자 자신만 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화나는 일이 생겨도, 감정이 밀어닥쳐도 죽은듯이 가만히 기다려야 합니다. 이렇듯 참을인(忍)자는 참지 못하는 자에게 가장 먼저 피해가 일어 난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죽순처럼 솟아오르는 것 들이 있습니다. 그럴때 자기평정을 잘 유지 할 줄 아는 것이 인내 입니다. 참을인(忍)자에는 또다른 가르침이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속에는 때로는, 온갖미움, 증오, 분노, 배타심 그리고, 탐욕들이 있습니다. 이런것이 싹틀 때 마다 마음속에 담겨있는 칼로 잘라 버리라는 것 입니다. 이렇듯, 인내에는 아픔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결단력이 필요합니다. 인고의 삶을 터득하는 사람에게는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인격이 주어질 것 입니다♥ 옮김 글
세상을 살다 보면 미운 사람도 많습니다. 사랑하고픈, 좋아하고픈, 친해보고픈 사람도 많습니다. 그래서 사랑하다 보면 괴로움이 따릅니다. 때로는 사랑해선 안 되는 사람이어서, 때로는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이어서 아픔도 따르고 괴로움도 따릅니다. 그렇다고 사랑 없이는 하루도 살 수 없습니다. 괴로움, 슬픔, 아픔이 따른다고 사랑을 하지 않는다면 삶이란 것 자체도 괴로움의 연속이니 살지 말라는 말과 같습니다. 아파도 괴로워도 우리는 살아야 하고 사랑해야 합니다. 그래서 좋아하고, 그래서 사랑하다 보면 때로는 실망하고, 때로는 배신의 아픔으로 미움을 갖게 됩니다. 배신의 아픔은 우리가 그에게 반대급부를 바라고 있었음을 반증합니다. 조건 없이, 바람 없이 주고, 사랑했다면 돌아서 가는 사람은 그것으로 그만 입니다. 미움도 아픔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사랑은 기쁨이지만 괴로움이 동반되듯, 누군가를 미워하면 그것은 더욱 자신을 아프게 합니다. 미워하는 마음은 ,희망 없는 아픔이요, 희망 없는 괴로움입니다. 사람이니까 그럴 수 있으려니, 사람이니까 변하고 배신할 수 있으려니 하고 그냥 내 마음에서 그들을 놓아줍니다. 마음에 간직해서 괴로운 미움을 마음에서 지우고 그 사람의
♡ 커피 이름 10개 정도는 알아둬야... 1. 에스프레소 [Espresso] 에스프레소의 이름은 영어로 '빠른'을 뜻하는 Express의 이탈리아어 입니다 빠르게 추출한다는 의미에서 온 뜻입니다. 2. 아메리카노 [Americano] 대용량의 커피, 에스프레소보다 연하게 마시는 커피를 미국인들(American)이 즐겨 마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3. 카푸치노 [Cappuccino] 카푸치노라는 이름이 지어지게 된 배경에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이탈리아어로 Cappuccino는 Hood (외투에 달린 모자, 두건)을 뜻하는 단어로 커피의 모양이 꼭 Hood와 같다고 하여 이름이 붙어졌다는 설과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회의 카푸친 수도회 (Capuchinfriars) 수도사들의 머리모양과 비슷하여 이름이 붙어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4. 카페라떼 [Cafe latte] 라떼는 이탈리아어로 우유를 뜻합니다. 에스프레소와 우유의 만남을 이름 그대로 표현한 메뉴입니다. 5. 카페모카 [Cafe Mocha] 커피, 우유, 초콜릿이 함께한 메뉴로 최초 커피 경작지인 예멘지역의 커피 수출이 원활했던 항구 모카 'Mocha'에서 이름이 유래 되었습니다. 모카 항구에서
★ 마음을 여는 행복편지 ★ 세상을 살다 보면 미운 사람도 많습니다. 사랑하고픈, 좋아하고픈, 친해보고픈 사람도 많습니다. 그래서 사랑하다 보면 괴로움이 따릅니다. 때로는 사랑해선 안 되는 사람이어서, 때로는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이어서 아픔도 따르고 괴로움도 따릅니다. 그렇다고 사랑 없이는 하루도 살 수 없습니다. 괴로움, 슬픔, 아픔이 따른다고 사랑을 하지 않는다면 삶이란 것 자체도 괴로움의 연속이니 살지 말라는 말과 같습니다. 아파도 괴로워도 우리는 살아야 하고 사랑해야 합니다. 그래서 좋아하고, 그래서 사랑하다 보면 때로는 실망하고, 때로는 배신의 아픔으로 미움을 갖게 됩니다. 배신의 아픔은 우리가 그에게 반대급부를 바라고 있었음을 반증합니다. 조건 없이, 바람 없이 주고, 사랑했다면 돌아서 가는 사람은 그것으로 그만 입니다. 미움도 아픔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 사랑은 기쁨이지만 괴로움이 동반되듯, 누군가를 미워하면 그것은 더욱 자신을 아프게 합니다. 미워하는 마음은 ,희망 없는 아픔이요, 희망 없는 괴로움입니다. 사람이니까 그럴 수 있으려니, 사람이니까 변하고 배신할 수 있으려니 하고 그냥 내 마음에서 그들을 놓아줍니다. 마음에 간직해서 괴로운 미움
다산 정약용 선생은 인생의 의미를 말하면서 유생무생의 인생을 이야기 하셨습니다. 有生無生(유생무생), 살아 있어도 살아 있지않은 것, 즉 숨만 쉬고 밥만 먹고 살아 있을 뿐 살아있다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사람의 인생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治心養性邊事目之爲閑事 (치심양성변사목지위한사) "마음을 다스리고 본성을 기르는 일을 그저 한가로운 사람들의 일이라고 제쳐두거나" 書窮理 指爲古談 (서궁리 지위고담) "책을 읽고 세상의 이치를 따져보는 일을 옛날이야기 정도로만 생각하는 사람이야말로" 世有一等輕薄男子 有生無生 (세유일등경박남자 유생무생) "세상에서 가장 경박한 사람이며 살아 있어도 죽은 인생이나 마찬가지의 사람이다." 이 말은 오래 전에 강호에 유래된 말입니다. 가슴이 뜨끔해지는 인생의 모습입니다. 밥만 먹고 산다고 인생은 아니라고 합니다. 마음을 다스리고, 이치를 따지며 인생의 의미를 찾아가며 사는 삶이 진정한 우리의 삶이 아닐까요? 살아 있어도 살아 있는 것이 아닌 인생 늘 잊지않고 살아가야할 삶의 덕목입니다. https://www.geimian.com/wx/61959.html
어느 시골 초등학교 운동장의 한 구석에 머리가 희끗한 '노 신사' 한 사람이 서 있습니다. 그 '신사'는 어릴 적 친구와 나이 육십이 되면 이 운동장에서 다시 만나자고 약속을 했는데 오늘이 바로 그 날이어서 친구를 만나러 나온 것입니다. 그런데 잠시 후에 청년 한 명이 급하게 운동장으로 들어와 '노 신사'께 물었습니다. "혹시 어르신은 어릴 적 친구를 만나러 오셨습니까?" "예, 그런데 당신은?" "아버님이 이 년 전에 지병으로 돌아가셨는데, 돌아가시기 전에 어릴 적 부모 없이 고아원에서 함께 자란 친구와 약속했다면서 날짜를 가르쳐 주시면서 오늘이 되면 '대신 나가서 만나 달라'고 저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노 신사'는 친구의 죽음을 매우 슬퍼했습니다. 하지만 약속을 지켜 준 친구의 마음이 너무나도 고마웠습니다. '노 신사'는 동대문 시장에서 의류 제조 판매업으로 성공한 재벌 회장이었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그의 슬하에는 자녀가 없었습니다. 그는 오래전부터 자신의 사업 후계자를 찾고 있던 중이었는데 친구의 아들을 만나자 대를 이어 약속을 지킨 그 청년에게 믿음이 가서 , 자신의 기업을 안심하고 맡길만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오랜 고민끝에 결국 친구의 아
시간은 세 가지 걸음이 있다 미래는 주저하면서 다가오고 현재는 화살처럼 달아나고 과거는 영원히 정지해 있다. 승자는 패자보다 더 열심히 일하지만 시간에 여유가 있고 패자는 승자보다 게으르지만 늘 바쁘다고 말한다. 승자의 하루는 25시간이고 패자의 하루는 23시간밖에 안 된다. 아무리 높은 산이라도 올라가면 내려와야 하듯이 폭염이 내리쬐다가 또 비가 쏟아지고 다시 폭염이 계속되다 보면 어느새 가을이 다가온다. 절정에 가면 모든 것은 내리막길을 가기 마련이다. 느리게, 그리고 주저하면서 다가오는 것 같지만 미래는 현재가 되는 순간 시위를 떠난 화살처럼 날아가 버린다. 하루하루는 지루한데 일주일은 금방 흩어지고, 한 달이나 일 년은 쏜살같이 날아가고 없다. 우리 만난 지가 언제였더라 하며 악수하다 보면 못 본지 10년. 강산도 변하고사람의 마음도 변해 한때의 친구가서먹서먹한 타인이 되어 있다. 승자는 시간을 관리하며 살고, 패자는시간에 끌려가며 산다는데 인생에서 패자로 남고 싶어 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러나 인생엔 승자도 패자도 없다. 이기기 위해 이곳에 온 것이 아니라 우린 그저 무엇을 경험하기 위해 이곳에 왔으며 그 경험이 다할 때 세상을 떠날 뿐이다.